술 한잔 깨는데 얼마나 걸리나 술자리 약속이 잦은 연말, 숙취로 고생하는 분들 많으시지요. 이렇게 마신 술이 깨는데는 얼마나 걸릴까요? 주종에 따라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국인 평균으로 한번 따져봤습니다. 몸속에서 알코올이 완전히 분해되는 시간을 봤더니, 소주 한잔은 남성이 27분, 여성은 48분이 걸렸습니.. 그룹명/건강.의학 2015.12.31
'복강경 췌담도암 수술 메카'… 세계 최다 수준 1000건 돌파 암 환자의 평균 5년 생존율이 70%에 육박하는 지금도 5년 생존율이 한 자릿수(8.8%)에 머물고 있는 무서운 암이 있다. 바로 췌장암이다. 췌장 바로 옆에 생기는 담도암의 5년 생존율도 26.7%로 낮은 편이다. 두 암은 우리 몸 깊숙한 곳에 생겨 수술이 어려울 뿐 아니라 제대로 발견하기도 쉽지 .. 그룹명/건강.의학 2015.12.28
60대 이상 노인에게 흔한 녹내장·백내장… 위험 요인은? 60대 이상 노인에게 흔한 안구질환은 녹내장, 백내장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녹내장 환자의 46.8%가 60대 이상 노인이었다. 백내장 역시 노년성 백내장의 87%, 기타 백내장의 67.1%가 60대 이상 노인이었다. 이렇듯 흔한 녹내장과 백내장이 정확히 어떤 질환인지,.. 그룹명/건강.의학 2015.12.28
과음 후 구토하는 이유 연말이면 잦은 술자리로 과음을 하는 경우가 많다. 술을 마실 때는 즐겁지만, 구토 같은 숙취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다. 과음 후 구역감이나 구토가 나는 이유는 뭘까? 구토는 알코올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한 생리적인 현상인 경우가 많지만, 일부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증상일 수 있어 .. 그룹명/건강.의학 2015.12.23
암환자 5년 생존율 70%..췌장암 9.4% 꼴찌 최근 5년간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 70% 수준으로 조사됐다. 암 환자 3명 중 2명가량은 5년 이상 생존하는 셈이다. 22일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의 '2013년 암발생률, 암생존율 및 암유병률 현황'에 따르면 2009~2013년 암환자 5년 생존율은 69.4%로 2001~2005년 53.8%에 비해 15.6% .. 그룹명/건강.의학 2015.12.22
급성 심정지 사전 경고신호 순간적으로 심장이 멎어 대부분 사망에 이르는 급성 심정지(sudden cardiac arrest)도 사전 경고신호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세다스-시나이 심장연구소(Cedars-Sinai Heart Institute)의 서밋 처그 박사는 급성 심정지 환자의 절반은 쓰러지기 24시간 또는 1주일 전 심지어는 1개월 전에 예고.. 그룹명/건강.의학 2015.12.22
의료사고 당한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의료사고를 당한 것 같아요. 부친이 심장수술을 받다가 돌아가셨어요. 수술 전, 의료진이 사망할 정도의 병은 아니라고 했거든요. 문제가 있다면 수술 중 어느 부분이 어떻게 잘못된 건지, 왜 사망에 이른 것인지 여부를 알고 싶어요. 사고가 맞는 것 같을 때 소송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하는.. 그룹명/건강.의학 2015.12.11
통풍 환자에 맥주는 독.. 해독제는 우유? 연말 모임 때 맥주가 나오면 눈살을 찌푸리는 사람이 있다. 바로 통풍을 앓고 있는 사람이다. 바람이 스치기만 해도 통증이 느껴진다고 해서 붙여진 병명이 통풍이다. 몸 안에 요산이 너무 많이 쌓이면서 생기는 염증성 질환이다. 요산은 오줌에 들어 있는 유기산이다. 요산이 과다하게 축.. 그룹명/건강.의학 2015.12.10
대장암 유발하는 '대장용종', 완전한 제거가 예방의 지름길 보통 병원에서 5~6mm 이하의 작은 용종을 제거할때는 조직검사용 겸자(집게)로 간단히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방식으로 용종을 제거할 경우 불완전 절제(용종 제거 수술 후 일부 용종이 남아있는 경우)가 발생할 위험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가톨릭대학.. 그룹명/건강.의학 2015.12.10
'30갑년' 담배 피운 아버지, 매년 '흉부 CT' 하세요 나이가 들어갈수록 건강상태는 개인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나므로 개별화된 접근을 통해 필요한 맞춤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연령이나 개인의 질병 유무, 가족력 등에 따라 정밀 혈액검사 항목들과 각 장기별 영상검사, 각종 초음파검사, 골밀도 검사 등을 추가할 필요.. 그룹명/건강.의학 2015.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