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 70% 수준으로 조사됐다. 암 환자 3명 중 2명가량은 5년 이상 생존하는 셈이다.
22일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의 '2013년 암발생률, 암생존율 및 암유병률 현황'에 따르면 2009~2013년 암환자 5년 생존율은 69.4%로 2001~2005년 53.8%에 비해 15.6% 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위암 15.4% 포인트, 전립선암 12.3% 포인트, 간암은 11.2% 포인트 생존율이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5년 상대생존율은 암환자와 같은 연령대 일반인의 생존율과 비교한 수치를 말한다. 상대생존율이 100%라면 일반인의 생존율과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생존율 통계 추이를 보면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1993~1995년 이후 지속해서 향상됐다.
1993~1995년 41.2%, 1996~2000년 44%, 2001~2005년 53,8%, 2006~2010년 65.1%, 2009~2013년은 69.4%였다.
갑상선암을 제외해도 같은 기간 생존율은 40.3%, 43%, 50.5%, 58.6%, 62%로 꾸준히 상승했다.
남녀 암생존율은 갑상선암 100%, 전립선암 92.5%, 유방암 91.5% 순으로 높았다. 반면 생존율이 낮은 암은 췌장암 9.4%, 폐암 23.5%, 간암 31.4% 순이었다.
갑상선암 생존율이 100%인 것은 해당 암에 걸린 환자가 동일한 나이와 성별의 일반인구와 비교했을 때 같은 수준으로 생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5년 생존율은 여성이 77.7%로 남성 61%에 비해 16.7% 포인트나 높았다. 이는 생존율이 높은 갑상선암과 유방암이 더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최근 5년간(2009~2013년) 암 생존율을 '제1기 암정복 10개년 계획'이 시행되기 이전인 1993~1995년과 비교하면 대다수 암이 높아지는 특징을 보였다.
전립선암 36.6% 포인트, 위암 30.3% 포인트, 비호지킨 림프종 21.8% 포인트, 대장암 20.8% 포인트, 간암 20.7% 포인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국과 비교해 한국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갑상선암, 위암, 대장암의 5년 생존율(2009~2013년)은 각각 100.2%, 73.1%, 75.6%였다.
암환자의 10년 생존율도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추세다. 모든 암의 10년 생존율은 1993~1995년 38.2%, 1996~2000년 40.7%, 2001~2005년 49.7%, 2004~2008년 56.9%였다.
갑상선암을 제외하면 같은 기간 36.5%, 38.8%, 46%, 51.1% 순으로 증가했다.
10년 생존율이 높은 암은 갑상선암 99.7%, 유방암 85.4%, 전립선암 83.6% 순이었다.
반면 생존율이 낮은 암은 췌장암 6.6%, 폐암 13.9%, 간암 17% 순으로 5년 생존율과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전체 암 가운데 췌장암의 생존율이 가장 낮은 셈이다.
'그룹명 > 건강.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대 이상 노인에게 흔한 녹내장·백내장… 위험 요인은? (0) | 2015.12.28 |
---|---|
과음 후 구토하는 이유 (0) | 2015.12.23 |
급성 심정지 사전 경고신호 (0) | 2015.12.22 |
의료사고 당한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0) | 2015.12.11 |
통풍 환자에 맥주는 독.. 해독제는 우유? (0) | 2015.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