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생활한자

나-야 2010. 8. 2. 09:26

 

나무와 눈, 목(木)과 목(目)이라는 두 글자로 이뤄진 게 상(相)이다. ‘눈으로 나무를 바라본다’는 의미가 원래의 것인데, 나무라는 존재는 “땅 위에서 가장 볼 만한 것”이라고 『역경(易經)』은 풀고 있다. 이후 상이라는 글자는 ‘자세히 관찰하다’는 뜻으로 진화한다.

‘백락이 말을 보다(伯樂相馬)’는 말이 있다. 세상의 명마(名馬)를 알아보는 데 아주 탁월한 재주를 지닌 백락이라는 사람의 말 관찰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상이라는 글자는 이에 더해 ‘서로’라는 의미를 지닌다. 상호(相互)·상대(相對) 등의 단어가 만들어진 바탕이다.

이 글자의 또 다른 핵심적인 뜻은 ‘돕다’다. 원래의 글자는 역시 같은 의미의 양(襄)이다. 이 글자는 과거의 음운(音韻)을 다룬 서적 『광운(廣韻)』에 따르면 원래 음이 ‘샹’ 또는 ‘상’에 가깝다. 따라서 상(相)은 양(襄)을 가차(假借)한 것으로 간주한다. 양이라는 글자는 혼례(婚禮)나 상례(喪禮) 등에 자주 등장하는 것으로, ‘양례(襄禮)’라고 적을 경우 예식의 주재자를 돕는 보조 진행자를 일컫기도 한다.

‘한 사람 밑, 만인의 위’를 말하는 ‘일인지하 만인지상(一人之下 萬人之上)’이라는 재상(宰相)은 이래서 나왔다. 중국의 전국(戰國)시대에 각 나라가 앞다퉈 설치한 관직이 상국(相國)·상방(相邦)·승상(丞相) 등이다. 유방(劉邦)은 한(漢) 왕실을 세운 뒤 승상이라는 직위를 만들었다가 상국으로 고쳤다.

임금 바로 밑에서 국정(國政)을 도우며 이끌어 가는 이 같은 직위의 통칭은 재상이다. 주재(主宰)한다는 의미의 ‘재’에다가 승상을 뜻하는 ‘상’을 붙인 것이다. 원전은 『한비자(韓非子)』다. 백관(百官)을 모두 이끌고 왕을 보좌한다는 뜻이다. 현명한 재상은 현상(賢相)이겠고, 그보다 높은 차원이 성상(聖相)일 것이다. 어리석은 재상은 우상(愚相)이며, 그보다 더 무능하면 맹상(盲相)이겠다.
-중앙일보-

'그룹명 > 생활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列國志  (0) 2010.08.06
天衣無縫  (0) 2010.08.05
欲仁而得仁이어니 又焉貪이리오   (0) 2010.07.30
  (0) 2010.07.30
赤字  (0) 2010.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