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야 2010. 3. 30. 13:40

服用 옷 복(月-8, 6급) 쓸 용(用-5, 6급)

 

약을 먹음’을 일러 ‘복용’이라 하는 까닭을 알자면 ‘服用’의 속뜻을 알아야 하므로 하나하나 차근차근 알뜰살뜰….

자의 원형은 舟(배 주), ?(꿇어앉은 사람 절), 又(손우)가 합쳐진 것이었다. 뱃멀미가 싫어 배를 타지 않으려고 하는 사람을 손으로 밀어 억지로 타게 하는 모습이 연상된다. ‘ 따르게 하다’(make obey) ‘ 따르다’(follow)가 본래 의미인데, 후에 ‘입다’(wear) ‘ 옷’(clothes) 등을 뜻하는 것으로도 쓰이게 됐다.

자는 나무로 만든 통 모양을 본뜬 것으로 ‘통’(abarrel)이 본래 의미인데, ‘ 쓰다’(use)는 의미로 확대 사용되는 예가 많아지자, ‘통’은 桶(통)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냈다.

服用은 ‘내복(內服)약을 사용(使用)함’이 속뜻이기에 ‘약을 먹음’을 이르기도 한다. 약이라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니 주의해야 한다. 중국 속담에 이르길, ‘약은 사람을 살릴 수도 있고, 사람을 죽일 수도 있다’(藥能生人, 亦能死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