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해무익 밤참
백해무익 밤참
잠이 오지 않는다. 저녁 먹은 지 오래라 속이 출출하다. 냉장고를 뒤질까, 라면을 끓일까, 족발 보쌈 감자탕 따위를 주문할 것인가. 아쉽더라도 굳은 의지로 그냥 자는 편이 낫다.
밤참은 온갖 위장 장애의 원인이다. 다이어트 최대의 적이기도 하다. 같은 양,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잠자리 전이라면 살이 찔 위험성이 매우 높다.
낮 동안 인체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방향으로 대사가 이뤄진다. 교감신경의 작용 때문이다. 거꾸로 밤에는 부교감신경의 작용이 지배적이라 섭취한 칼로리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지방으로 전환, 몸 속에 쌓인다. 수면 중 분비되는 성장 호르몬은 여분의 칼로리를 지방으로 축적하는 작용을 더욱 강화한다.
야식을 먹은 다음날 아침이면 밤참에 들어있는 소금기 탓에 얼굴이 붓는다. 라면 감자탕 등은 염분 덩어리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소금을 잔뜩 먹고 자면 몸은 염분 농도를 낮추느라 수분을 배출시키지 않고 체내에 저장한다. 낮과 달리 신진 대사기능이 저하된 상태라 붓는 현상은 더욱 두드러진다.
스트레스는 음식을 부른다. 특히 달콤, 매콤, 짭짤한 것을 먹고픈 충동이 인다. 이들 음식물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신을 편안히 만드는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을 생성하는 재료이기 때문이다. 또 스트레스를 받으면 스트레스 호르몬(코티솔) 분비가 증가한다. 이 호르몬이 많이 나오면 배가 고프지 않아도 먹을 것을 찾는다.
밤참은 각종 합병증을 일으킨다. 비만과 부종뿐 아니라 잠은 신진대사 기능을 떨어뜨리고 각종 체내기관을 쉬도록 하기 때문에 위산 분비가 줄어 소화불량이 일어나기 쉽다. 기름진 보쌈이나 족발 닭튀김을 먹으면 특히 심해진다.
너무 차거나 뜨거운 음식, 매운 음식이나 후추와 마늘이 많이 들어간 음식은 위를 자극해 위염을 부른다. 스트레스와 이 음식들의 자극이 겹치면 궤양이 생길 개연성이 커진다. 밤참 후 바로 누우면 위와 식도의 괄약근이 열린다. 위의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돼 식도염이 발생하기 쉽다. 가슴이 쓰려 잠에서 깨는 수도 있다.
낮에는 입맛이 없어 하루 섭취량의 절반 이상을 저녁 이후에 먹고, 밤이면 게걸스러워지며, 자다가 식욕을 느껴 깬다면 야간 식이증후군일 수 있다.
야간 식이증후군은 과도한 스트레스나 우울증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스스로 조절이 어렵다면 원인 규명과 치료를 위해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그래도 반드시 야식을 챙겨야 한다면 포만감을 주는 기름진 음식이나 피로, 체중 증가의 원인이 되는 인스턴트 식품은 피해야 좋다.
위에 부담이 적은 죽, 수프, 시지 않은 과일 주스, 우유, 요구르트 등이 그나마 좋다. 물을 마셔도 도움이 된다. 갈증을 허기로 착각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카페인음료 탄산음료 술 담배는 피하는 것이 좋다.